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진술축미 (사주, 명리) 지장간 월지의 중요성 오늘은 진술축미(辰戌丑未)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진술축미(辰戌丑未)를 어렵게 생각하지만, 사실은 어렵지 않습니다.   위에 유튜브 '개고의 모든것 내 사주의 진술축미 언제 열리나'  바로가기   진술축미는?인신사해(寅申已亥)의 사생지(四生地)와 자오묘유(子午卯酉)의 사왕지(四旺地)는 각 계절의 기본적인 정기(正氣)를 중심으로 봅니다. 하지만 진술축미(辰戌丑未)는 계절과 관련된 정기가 아니라, 무기(戊己) 토를 중심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진술축미(辰戌丑未)는 정기보다 여기(餘氣)와 중기(中氣)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내 사주의 월지에서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있다면, 월지는 계절의 의미가 더 크기 때문에 조금 다르게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辰)토.. 2024. 6. 2.
자오묘유 (사주, 명리) 정점과 오행의 중심 자오묘유(子午卯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오묘유(子午卯酉)는 각 계절의 가장 높은 점, 즉 정점을 나타내요.  예를 들어, 인묘진(寅卯辰)월을 보면 인(寅)이 시작점이고, 묘(卯)가 정점, 진(辰)은 끝자락이에요. 이런 순환은 계속 반복돼요.   위에 유튜브 바로가기 >   자오묘유(子午卯酉)는 계절의 정점인신사해(寅申巳亥)에서 계속 기온이 올라갔는데, 자오묘유(子午卯酉)에서는 그 기온이 최고점에 도달했어요. 바로 그 최고점이 자오묘유(子午卯酉)입니다. 그래서 이 시점에서 기온이 다시 내려가기 시작해요. 이 상태를 '사왕지'라고 하는데, '왕성하다'는 의미의 왕(旺)에서 왔어요. 최고점에 도달했다는 뜻이죠. 또 다른 표현으로는 '사정지'라고 해요. '정확한' 이라는 뜻의 '바를 정'(正)에서 .. 2024. 6. 1.
인신사해 계절의 문을 여는 사주 명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신사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인신사해는 우리가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하는 네 개의 지지(地支) '인(寅)으로 시작하는 봄, 신(申)으로 시작하는 가을, 사(巳)로 시작하는 여름, 해(亥)로 시작하는 겨울' 을 의미합니다. 마치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장을 여는 주인공들처럼, 자연과 우리 삶에 신선한 시작을 알리죠. 이 역할은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오행 '목, 화, 토, 금, 수' 이라는 자연의 다섯 요소의 순환에서도 중요한 시작점을 마련합니다. 이렇게 인신사해는 자연과 우주의 순환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깨닫게 해 줍니다. 인신사해에서 특히 흥미로운 점은 '통근'이라는 개념입니다. 이는 일정한 요소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 작용한다는.. 2024. 3. 24.
신약 사주 삶의 조연에서 찾는 주연의 가치 신약 사주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신강 사주가 삶을 자신의 방식대로 이끌어가는 사람들이라면, 신약 사주는 어떤 모습일까요? 생각해 보세요, 만약 당신이 자신의 삶에서 주연이 아니라 조연이라면 어떨까요? 신약 사주는 바로 이런 상황에 놓인 사람들을 말해요. 그들은 자주 다른 이들의 도움을 받거나, 주변의 평가에 크게 의존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신약 사주가 가진 잠재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성공의 기준은 단순히 자신이 얼마나 독립적인가에 달린 것이 아니니까요. 혹시,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성공이 실제 능력이나 타인의 평가와 직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그렇다면, 신약 사주의 다양한 양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신약 사주를 가진 이들이 자신의 재능을 어떻게 발휘하고, 주변 환경과 .. 2024. 3. 23.